맨위로가기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는 1812년 그림 형제가 발표한 동화로, 엄마 염소가 숲에 간 사이 늑대가 아기 염소들을 속여 잡아먹으려 하자 막내 염소의 기지로 살아남고, 결국 엄마 염소에게 늑대가 벌을 받는 내용이다. 이 이야기는 중동과 유럽 지역에서 기원했으며, 늑대가 목소리를 변조하고 아기 염소들을 속이는 과정, 막내 염소의 생존과 엄마 염소의 복수 등 다양한 변형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늑대에 대한 비유 - 외로운 늑대
    외로운 늑대는 극단주의 이념을 추종하여 테러 조직의 지시 없이 단독으로 범행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개인을 지칭하며, 대테러 당국의 대응을 어렵게 하고 정신 건강 문제와도 연관될 수 있지만 묻지마 살인 등 일반 범죄와는 구별되어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
  • 늑대에 대한 비유 - 전랑 외교
    전랑 외교는 중국의 외교 정책 스타일을 일컫는 용어로, 덩샤오핑 시대의 외교와 달리 대결적 수사, 강압적인 행태, 비판에 대한 거부 등의 특징을 보이며, 국제 사회에서 비판과 논란을 낳고 있다.
  • 늑대를 소재로 한 작품 - 양치기 소년
    양치기 소년은 늑대가 나타났다는 거짓말을 반복하다가 실제로 늑대가 나타났을 때 아무도 믿어주지 않아 양떼를 잃게 된다는 이솝 우화로, 거짓말의 폐해에 대한 교훈과 함께 "늑대 소년 효과"라는 용어의 유래가 되었다.
  • 늑대를 소재로 한 작품 - 거울 속 외딴 성
    《거울 속 외딴 성》은 학교 폭력으로 등교를 거부하는 중학생 코코로가 거울 속 성에서 6명의 아이들과 만나 소원을 이루기 위해 열쇠를 찾는 모험을 하는 이야기이다.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
헤르만 포겔 삽화
헤르만 포겔 삽화
다른 이름늑대와 아이들
아르네-톰슨 유형ATU 123
국가독일
출판그림 형제 동화집
관련 항목

2. 기원

이 이야기는 1812년 그림 형제가 ''어린이와 가정 동화집'' 초판에 발표했으며, 그들의 출처는 하나우 출신의 하센플루크 가문이었다.[2] "늑대와 아기 염소들"과 비슷한 이야기가 중동과 유럽 일부 지역에서 전해져 왔으며, 아마도 1세기에 기원했을 것이다.[3]

3. 줄거리

엄마 염소는 먹이를 구하러 숲으로 가면서 일곱 마리 아기 염소들에게 늑대를 조심하라고 당부한다. 늑대는 엄마 염소인 척하며 아기 염소들을 속이려 하지만, 아기 염소들은 늑대의 쉰 목소리와 검은 발을 보고 속지 않는다.

늑대는 분필, 밀가루 등으로 목소리와 발을 위장하여 결국 아기 염소들을 속이고 잡아먹는다. 막내 아기 염소는 괘종시계 속에 숨어 살아남는다.

200px

돌아온 엄마 염소는 막내 아기 염소에게서 자초지종을 듣고, 잠든 늑대의 배를 갈라 아기 염소들을 구출한다. 엄마 염소와 아기 염소들은 늑대의 배에 돌을 채워 넣고 꿰맨 후, 늑대는 우물 (혹은 강)에 빠져 죽는다.

4. 분석

이 이야기는 "아기 돼지 삼형제"와 유사하며, 아기 염소들이 늑대의 뱃속에서 구출되고 늑대가 돌로 벌을 받는 결말은 늑대에 대한 빨간 두건의 구출과 복수와 비교할 수 있다(아르네-톰슨 유형 333).[4] 이 동화는 단순한 권선징악을 넘어, 약자도 지혜와 용기를 발휘하면 강자를 이길 수 있다는 교훈을 준다. 특히, 막내 아기 염소의 생존과 엄마 염소의 용기 있는 행동은 위기에 맞서는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5. 다양한 판본

이솝의 변형 중에는 "암염소, 새끼 염소, 늑대"가 있다.[5] 마리 드 프랑스는 자신의 컬렉션 ''에소페''에 "늑대, 염소, 새끼 염소"라는 버전을 포함시켰다.[6] 울리히 보너의 ''데어 에델슈타인''에 수록된 33번째 이야기는 변형된 이야기이다.[7] 하인리히 폰 블리스로키는 루마니아 변형본인 “Der alte Mann und der Wolf,” ("늙은 남자와 늑대")를 출판했다.[8] "말 안 듣는 새끼들"은 체코슬로바키아 변형본이다.[9] 모로코 민담집에도 변형본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10] 하산 엘-샤미는 아즈후르 알 쿠브라에서 이집트 버전인 ''쇠뿔을 가진 암염소''를 찾아냈다.[11] 러시아 민속학자 알렉산드르 아파나시에프는 ''늑대와 새끼들''을 또 다른 변형본으로 분류했다.[12] A. 브루포드는 ''스코틀랜드 전통 이야기''에서 "회색 염소"라는 제목의 스코틀랜드 변형본을 수집했다.[13] 이란 변형본인 ''늑대와 염소 이야기''는 키르마니로부터 수집되었다.[14]

6. 비고

백악(, 탄산 칼슘)을 먹으면 목소리가 좋아진다는 근거는 독일의 전승이나 전통 민간요법에는 없다.[16] 그림 형제와 동시대 인물인 사무엘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하네만(1755년 4월 10일 - 1843년 7월 2일)이 창시한 의료법 동종 요법에는 "탄산 칼슘 또는 황산 칼슘이 목의 약이다"라는 설명이 있다. 18세기 유럽 최대의 백과사전인 '체들러'(Johann Heinrich Zedler: ''Grosses vollständiges Universal-Lexikon'')이나 Hanns Bächtold-Stäubli 편저 『독일 민간 신앙 사전』(''Handwörterbuch s deutschen Aberglaubens'')에 "속쓰림을 방지하는 가루약"으로서 백악이 복용되었다는 설명이 있다.[16]

"백악을 먹는"("Kreide fressen")이라는 표현은 "본성을 숨긴다", "고양이 가면을 쓴다"는 뜻으로 쓰이는 관용구이다. 옛날에는 상점에서 백악으로 외상값을 석판에 기록했고, 지불을 둘러싸고 분쟁이 일어나 법정에까지 이르게 되면, 피고는 갑자기 아첨하는 목소리를 내어 원만하게 해결하려 했다. 이 때문에 "백악을 먹는다"는 것은 "아첨하다" 또는 "변명하다"는 의미가 되었다.[17]

한편, Duden의 달력 ''Duden ― Auf gut Deutsch! 2021'', 2021년 12월 17일자에는 "늑대가 먹은 것은 백악(Malerkreide, Kreide zum Schreiben)이 아니라 이른바 키르슈크라이데(Kirschkreide)이다. 프로이센에서는 쉰 목소리(Heiserkeit)에 효험이 있다고 여겨지는 앵두 무스(Mus aus Sauerkirschen)를 그렇게 불렀다"라고 적혀 있다.(https://www.bedeutungonline.de/was-bedeutet-kreide-fressen/ 2021년 12월 30일 확인에도 같은 취지의 설명이 있다).

또한, 독일의 한 그림책(1999)에는 백악(Kreide)이 아닌, 늑대는 커다란 꿀 타르트(eine große Honigtorte)를 먹었다고 적혀 있으며, 두 손(앞발)으로 접시를 들고 꿀이 듬뿍 뿌려진 타르트를 먹으려는 늑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18] 더욱이, "인간이라면 결코 입에 대지 않을 '석회(표백분)'를 (늑대이기에 아무렇지도 않게) 먹고, 목소리를 '표백'했다"는 이해도 가능하다.[19]

본 작품의 일본에서의 소개는 오래되었으며, 그림 동화보다 앞선 원형이 예수회선교사가 들여온 활판 인쇄기에 의해 1593년 규슈아마쿠사에서 인쇄되었다. 근대에 들어와서는 1887년에 "여덟 마리 염소"(오 문총・번역)의 표제로 홍문사에서 간행되었다.

7. 한국 전래

참조

[1] 서적 The Types of International Folktales: A Classification and a Bibliography Suomalainen Tiedeakatemia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004
[2] 서적 The Complete Fairy Tales of the Brothers Grimm: Volume I Bantam Books 1988
[3] 웹사이트 Such Deep Roots You Have: How Little Red Riding Hood's Tale Evolved https://www.nbcnews.[...] NBC News 2013-11-13
[4] 웹사이트 The Wolf and the Seven Young Kids https://sites.pitt.e[...] University of Pittsburgh 2023-09-26
[5] 서적 Aesop's Fabl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6] 서적 The Fables of Marie de France: An English Translation Summa Publications Inc 1984
[7] 서적 The Types of International Folktales: A Classification and a Bibliography Suomalainen Tiedeakatemia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004
[8] 서적 Märchen und Sagen der transsilvanischen Zigeuner Nicolaische Verlags-Buchhandlung 1886
[9] 서적 The Disobedient Kids and Other Czecho-Slovak Fairy Tales https://en.wikisourc[...] B. KOČÍ 2023-11-01
[10] 서적 Moroccan Folktales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3
[11] 서적 Tales Arab Women Tell and the Behavioural Patterns They Portra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12] 서적 The Complete Russian Folktale, Vol 2 Sharpe 1999
[13] 서적 Scottish Traditional Tales Polygon 1994
[14] 서적 Persian Tales Macmillan 1919
[15] 웹사이트 グリム童話 KHM5 オオカミと七匹の子ヤギ について http://aesopus.web.f[...]
[16] 간행물 狼の喉飴は白墨? ―グリム童話「狼と7匹の子ヤギ」をめぐって― 日本独文学会東海支部『ドイツ文学研究』 2022
[17] 서적 グリム童話全集―子どもと家庭のむかし話 西村書店 2013
[18] 서적 Mein wunderbarer Märchenschatz Serges Medien 1999
[19] 간행물 狼の喉飴は白墨? ―グリム童話「狼と7匹の子ヤギ」をめぐって― 日本独文学会東海支部『ドイツ文学研究』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